본문 바로가기

컴퓨터활용

엑셀 숫자 문자열 자리수 맞추고 0으로 채우기

여러분들은 엑셀 작업할 때 숫자 입력 후

자리수가 들쑥날쑥 맞지 않을때 어떻게 하시나요?

 

 

 

보통은 자릿수를 맞추기 위해 자리앞에 0을 채울때

셀서식을 변경하여 숫자 앞에 0을 채워주는데요.

 

그럼 숫자일때는 자릿수가 자동으로 잘 설정이 됩니다.

하지만  숫자와 문자가 섞여있을 경우에는 그냥 저장했다가는

나중에 데이터를 확인해보면 엄청난 오류가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이럴 땐 당황하지 마시고 지금부터 알려드리는

셀서식을 변경하는 방법을 포함한

총 3가지 방법중

상황에 맞게 원하는 방법을 선택해서

적용시켜주면 되는데요.

 

자 그럼 하나씩 확인해 보실까요?

 

1. 셀서식 사용자 지정 사용하는 방법

결과부터 말하자면,

아니 보여드리자면...

 

숫자앞에 0으로 자리수 채우기

 

그렇다면 위와같이 0으로 채우기는 어떻게 할까요?

따라해 보실까요?

 

우클릭 팝업메뉴의 셀 서식 메뉴 클릭

 

먼저 적용하고자 하는 데이터 범위를 설정후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여 셀 서식 메뉴로 들어갑니다. 

 

 

 

셀 서식 창이 열리면 사용자 지정을 선택하고

형식(T) 란에 위와같이 자리수를 맞춰주면 되는데요.

 

예에서는 6자리로 자릿수를 맞추고 0으로 채우기 예입니다. 

자리수를 더 늘리려면 0을 더 넣어주면 되겠지요... 

 

 

확인을 누르면 위와같이 자리수가 0의 개수인

6자릿수가 채워져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으세요.

 

자 이해 되셨나요? 되셨겠죠^^ 

 

 

 

다음으로는, 

 

2. TEXT 함수 사용하는 방법

 

이번에는 TEXT를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볼까 하는데요.

일단 TEXT 함수 인터페이스를 살펴볼게요...

 

 


TEXT(Value, FormatText)

Param1 Value: 함수로 표시할 값

Param2 FormatText: 값에 적용할 서식


 

여기 FormatText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 지정형식을 뜻합니다.

따라서 FormatText 에 "000000" 을 입력하면 위와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되는것이지요.

 

그림을 한번 볼까요?

 

TEXT 함수를 적용한 셀에 모두 입력한 후 결과를 보겠습니다. 

 

보시는것처럼 TEXT 함수를 사용하여 셀 서식을 지정할 수 있었습니다.

 

자 이해 되셨나요? 되셨겠죠^^

 

 

마지막으로, 

 

3. LEN, REPT 함수 사용하는 방법

 

셀 서식을 변경하여 데이터 앞에 0을 채우는것은

숫자만 가능하답니다.

 

때로는 문자열("BB0386")도 자릿수가 섞여있을때

자릿수를 맞추기 위해 0으로 채울 필요가 있는데요.

 

이번 소개해드릴 방법은

문자열도 가능한 방식이기 때문에 

알아두신다면 두고두고 유용하게

사용하게 될 날이 오겠어요.

 

이방식에는 LEN과 REP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이에요.

조금 복잡해 보이지만 어려운거 아니니 잘 따라오세요. 

 

일단 LEN 함수 인터페이스를 먼저 살펴볼게요...


LEN(InputText)

Param1 InputText: 길이를 확인할 문자열 데이터 


LEN 함수는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로서 그림을 보시죠.

 

위와 같이 LEN함수에 길이를 확인할 데이터 셀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셀 전체에 값이 제대로 적용된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세요.

 

 

 

다음으로, 

REPT 함수 인터페이스를 먼저 살펴볼게요...


REPT(Text, NumRept)

Param1 Text: 반복할 텍스트

Param2 NumRept: 박복 횟수


 

REPT 함수는 특정 문자 또는 문자열을 반복하여 표시해주는 함수로서,

0의 개수 곧 자릿수에서 LEN의 개수를 뺀 값을 0으로 표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반복할 텍스트는 "0"을 입력하고

반복횟수는 자리수 6에서 Len을 뺀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셀 전체에 값이 제대로 적용된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세요.

 

 

 

그렇다면 이제 0과 데이터를 합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데이터를 합치기 위해 마지막으로,

 CONCATENATE 함수 인터페이스를 살펴볼게요...


CONCATENATE 

(Text1, Text2, ... , TextN)

Param Text: 합칠 텍스트


 

매우 간단합니다.

그림 먼저 보시죠.

 

데이터 앞에 0이 붙어야 하므로 F7 셀을 앞에 넣어주고, 그뒤에 D7 데이터를 넣어줍니다.

 

 

결과화면 보시겠어요...

위와 같이 데이터에 0이 채워져 자릿수가 정돈된걸 확인하실 있었습니다.

 

어때요?

숫자 또는 문자열 앞에 자릿수 0으로 채우기

참 쉽쥬~ :)